클린코드(3)
-
비즈니스 확장성을 고려한 알림톡 발송 시스템 개선기: 전략 패턴의 실전 적용
알림톡이란?알림톡은 카카오톡이 제공하는 기업용 메시징 서비스입니다.일반적인 카카오톡 메시지와는 달리, 알림톡은 사용자가 해당 카카오톡 채널을 친구로 추가하지 않아도 정보성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기업들은 주로 주문 내역, 예약 확인, 배송 현황 등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알림톡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친구 추가가 없어도 발송 가능최대 1,000자까지 텍스트 전송 가능버튼을 통한 액션 유도 (최대 5개)높은 도달률과 신뢰도스팸이나 피싱의 위험이 낮음출장관리시스템에서의 알림톡 활용저희 회사가 만드는 출장관리시스템(이하 BTMS)에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알림톡을 활용하고 있습니다:항공권 예약 알림미확정(예약 실패)예약 완료 알림에약 취소발권 완료체크인 ..
2025.01.26 -
코드 작성 가이드 리뷰: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개발자의 필독서
1. 책 소개코드 작성 가이드는 이시가와 무네토시가 발표한 Code Readability 강연 내용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책입니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 그의 강연 PDF를 훑어본 적이 있었는데, 대략 700+ 장의 pdf 라서 읽을 엄두를 못 냈습니다 ㅠ하지만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을 읽으면 강연을 듣지 않아도 된다"고 할 만큼 자신감을 드러낸만큼, 책을 읽는게 상당히 이득입니다!책은 단순히 코드를 짜는 기술을 넘어서, 팀 전체의 생산성을 높이는 "가독성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법을 알려줍니다. 시중에 나온 다른 클린 코드에 대한 책들을 읽으면, 방법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다들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이 책은 마인드셋, 변수의 네이밍부터, 함수, 클래스 등등 모든 프로그래밍 전반에 있어서 작성 가이드를..
2024.12.22 -
TDD 스터디 회고: 에러 핸들링의 책임과 TDD의 본질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TDD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이번 주 스터디를 하면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1. 에러 핸들링도 하나의 '책임' 이다이번 주에 저번처럼 기획을 기능 명세서로 만든 후,기능 명세서에서 명시한 Exception을 어느 계층에서 던져야 할지 고민이 되더라고요.이전까지는 Controller에서 DTO를 바인딩할 때 @Valid로 모든 검증을 처리했었거든요.필드가 유효하지 않은 값이 있다면, 서비스 로직까지 아얘 오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서비스 계층은 비즈니스 로직을 책임지는 계층이지, 값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의 책임은 컨트롤러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위 카테고리 수정 명세서를 예시로 들어보자면,'name'으로 빈 값이 들어..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