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19)
-
TCP vs UDP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 (User Datagram Protocol)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둘 다 패킷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IP 프로토콜 위에서 작동합니다. 하지만, TCP와 UDP는 각각 다른 특징과 용도가 있습니다. 연결 지향성 (Connection-Oriented) vs 비연결 지향성 (Connectionless) TCP는 연결 지향성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고 연결을 해제합니다. 이로 인해 신뢰성이 높아지지만, 연결 설정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UDP보다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반면, UDP는 비연결 지향성 프로토콜입니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 설정 과정이 ..
2023.03.18 -
HTTP GET vs POST?
먼저 간단한 결론부터 내자면 다음과 같다. GET은 주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POST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GET은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메소드는 URL에 데이터를 포함시켜 요청을 보냅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열면 브라우저는 GET 요청을 보내 해당 페이지에 필요한 HTML 파일 및 이미지 파일 등을 서버에서 받아옵니다. GET은 브라우저에서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빠르게 로드할 수 있지만, 보안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 전송에는 사용되지 않아야 합니다. 반면 POST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메소드는 요청 바디에 데이터를 포함시켜 요청을 보냅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폼을 작성하고 제출하면, 브라우저는 POST 요청을 보내 해당 데..
2023.03.17 -
트랜잭션의 연산 중 ROLLBACK 이란?
롤백(rollback)이란 트랜잭션이 실패할 경우 실행되며, 전체 트랜잭션을 취소하는 연산이다. 트랜잭션을 실행하다 보면, 가끔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오류나 시스템의 예기치 않은 전원 차단 등으로 인해 트랜잭션이 실행 중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요인들로 인해 트랜잭션이 실행 중 중단되게 되면 트랜잭션의 ROLLBACK 연산이 일어난다고 보면 된다. 롤백은 트랜잭션을 트랜잭션 시작부터 또는 트랜잭션 내의 저장 지점까지 되돌린다. 롤백 트랜잭션을 사용하면 트랜잭션 시작부터 또는 저장 지점까지의 모든 데이터 수정을 지울 수 있으며, 트랜잭션에 할당된 자원도 해제된다.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에서 롤백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명시적 요청(예: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ROLLBACK 을 요청함) 처..
2023.03.16 -
거품 정렬(Bubble Sort)이란?
거품 정렬(Bubble Sort)은 인접한 두 원소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여 작은 값의 원소를 앞으로, 큰 값의 원소를 뒤로 교환하면서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가장 먼저 배우는 정렬 기법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알고리즘은 구현하기도, 이해하기에도 정말 쉽다는 게 장점이다. 하지만 으레 모든 방법이 장점이 있다면, 그에 수반하는 단점도 있는 법. 거품 정렬은 비교와 교환을 반복하면서 시간 복잡도가 O(n^2)으로 비효율적이며 정렬된 데이터에 대해서도 비교를 계속 하므로 최선의 경우에도 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아래는 자바로 구현한 거품 정렬이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2023.03.15 -
프록시란(proxy)?
일반적으로 프록시란? 일반적으로 프록시는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행동하는 중개자 또는 대리인을 일컫는다. proxy 1. [명사] 대리[위임](권) 2. [명사] 대리인 3. [명사][격식 또는 전문 용어] (측정·계산하려는 다른 것을 대표하도록 이용하는) 대용물 출처 컴퓨터 과학에서 프록시란? 컴퓨터 과학에서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는 서버 또는 서비스, 즉 중계 서버를 의미한다.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은 다음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서버로 전달합니다. 서버는 프록시 서버에 응답한 다음 응답을 다시 클라이언트로 전달합니다. 프록시 서버의 용도 보안 향상 :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장벽 역할을 하여 들어오는 트래픽을 필터링하여 악의적인 요청이나 트래픽..
2023.03.14 -
가상 메모리란?
물리적 메모리란? RAM(Random Access Memory)이라고도 하는 물리적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의 실제 하드웨어이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명령과 데이터가 물리적 메모리에 로드되어 프로세서가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물리적 메모리에는 한계가 있다. 메모리는 가격이 비싸고,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최신 프로그램은 특히 대용량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로 작업할 때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메모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운영 체제는 프로그램이 물리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게 되고, 이를..
202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