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6)
-
CTE: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가독성 문제에 대한 고찰
💡 본 글은 회사에서 CTE(Common Table Expression) 를 처음보고, 이에 대해 조사해본 글입니다!💡 CTE 문법은 ANSI 표준 중 일부라, 대부분의 DBMS 에서 지원하지만, 내부적으로 동작을 하는 방식은 DBMS 마다 다르니, 참고하세요! (ex. Postgre 에서 CTE는 무조건 Using Temp 지만, MySQL 은 Execution Plan 에 따라 다릅니다! )CTE 의 기본 개념A common table expression (CTE) is a named temporary result set that exists within the scope of a single statement and that can be referred to later within that st..
2024.07.16 -
초보자를 위한 SSL/TLS 가이드: 무료와 유료 인증서의 차이점
1. SSL의 등장 배경과 역사인터넷이 상용화되면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도청, 변호, 위변조의 위험성이 커졌습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입력하는 ID 와 비밀번호가 중간에서 도청될 수 있습니다.이러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한 데이터 전송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됐습니다.개인정보 보호 및 기밀성 유지인터넷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가 유출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SSL의 탄생1994년, Netscape Communications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SL(Secure Sockets Layer) 프로토콜을 개발했습니다. SSL은 데이터 암호화를 통..
2024.06.10 -
TDD 스터디에서 배운 점: 가독성 높은 테스트 코드 작성법과 코드 리뷰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TDD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는 코랩입니다.이번 주 TDD 스터디를 하면서 배운 내용들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이번 주 작업 내용저희 팀은 이번 주에 6, 7장 강의를 수강하고,controller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서로의 코드를 리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이번 주에는 강의와 코드 리뷰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강의에서 배운 내용1. 각 테스트 별 given, fixture를 @BeforeEach로 빼지 말자!각 테스트는 독립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므로, given과 fixture를 @BeforeEach로 분리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특히 학습용으로 할 때는 비즈니스를 간단하게 가져가다 보니, given 절에서 반복이 자주 일어납니다. ..
2024.05.12 -
TDD 스터디 회고: 에러 핸들링의 책임과 TDD의 본질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TDD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이번 주 스터디를 하면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1. 에러 핸들링도 하나의 '책임' 이다이번 주에 저번처럼 기획을 기능 명세서로 만든 후,기능 명세서에서 명시한 Exception을 어느 계층에서 던져야 할지 고민이 되더라고요.이전까지는 Controller에서 DTO를 바인딩할 때 @Valid로 모든 검증을 처리했었거든요.필드가 유효하지 않은 값이 있다면, 서비스 로직까지 아얘 오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서비스 계층은 비즈니스 로직을 책임지는 계층이지, 값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의 책임은 컨트롤러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위 카테고리 수정 명세서를 예시로 들어보자면,'name'으로 빈 값이 들어..
2024.05.05 -
TDD 스터디 주간 회고 (4/22 ~ 4/28)
저희 팀은 이미 한 번 리뷰를 해본 적이 있지만,제대로 된 주간 리뷰는 이번이 처음이라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어요.스터디 진행 방식저희 팀의 스터디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1. 박우빈 님의 강의를 정해진 주차까지 듣습니다.2. 팀원들과 회의를 통해 기획명세서를 도출합니다. 이때 GPT에게 회사에서 주는 것처럼 해달라고 요청합니다.3. 기획명세서를 토대로 TDD를 진행합니다. 예전에 TDD를 할 때는 Red, Blue, Green 만 지키다 보니, 본질적인 것은 이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래서 저희 팀은 스터디 내용 중에 명세서를 열어보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TDD의 핵심은 명세서를 열어보고 해체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했어요.4. 서로의 코드와 테스트 코드를 화면에서 보고 리뷰합..
2024.05.01 -
손흥민 결승골 후 데이터 폭증: 해축갤에서의 3가지 인덱스 전략
배경 최근 이런 시나리오를 생각해봤습니다. 월드컵 결승에서 손흥민 선수의 골로 인해 극적인 승리를 한다면 해축갤에 무슨 일이 일어날까? (제발 이런 일이 일어났으면) 생각만 해도 달달하다. 이런 경우 아마 해축갤에 흥민찬양에 대한 주제로 글이 미어터질 것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글들이 쌓이면, 이는 결국 대규모 데이터라고 불릴 만큼 늘어날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늘어난 글의 갯수를 대략 1억개로 잡아봤습니다. 그래서 최근 데이터를 200만 개에서 1억 개로 늘리고 난 뒤 기존 API의 성능이 얼마나 나오는지 궁금해 쿼리를 한번 테스트해 봤습니다. 정신 나갔다,,, 쿼리 응답시간 4분 20초…? 해축갤은 제 자식과 같은 프로젝트이지만, 저라도 이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을 거 같습니다 ㅠ 상황 현재 해축갤의 E..
2024.03.26